|
계 |
01월 |
02월 |
03월 |
04월 |
05월 |
06월 |
07월 |
08월 |
09월 |
10월 |
11월 |
12월 |
전국 |
10,528 |
65 |
24 |
32 |
81 |
162 |
183 |
182 |
171 |
340 |
3,250 |
5,542 |
496 |
광주 |
330 |
2 |
0 |
1 |
1 |
2 |
7 |
3 |
2 |
9 |
131 |
151 |
21 |
참고자료 |
<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> |
○ 작업 및 야외 활동 전 -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- 야외활동 및 농작업 시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* 착용하기 * 긴팔·긴바지, 모자, 목수건, 토시, 장갑, 양말, 장화 -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-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○ 작업 및 야외 활동 시 -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으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- 돗자리를 펴서 앉고,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-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-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○ 작업 및 야외 활동 후 - 입었던 옷을 세탁하고, 샤워나 목욕하기 - 머리카락, 귀 주변, 팔 아래, 허리, 무릎 뒤,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기 |
<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수칙> |
○ 렙토스피라증 예방수칙 -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(쥐 등의 설치류, 소, 돼지, 개 등의 가축)의 소변을 통해 주로 노출되므로, 고여있는 물 등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수영하지 않고, 고여있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피부 보호를 위한 작업복(특히 장화)을 반드시 착용하기 - 홍수 이후 벼베기/벼세우기나 들쥐 포획사업 등의 작업 후 발열이 있는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기 ○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수칙 - 쥐의 서식여부를 확인하여 쥐잡기를 실시하고 쥐의 배설물과 접촉 피하기 - 야외 활동 후 귀가 시에는 입었던 옷을 세탁하고, 샤워나 목욕 하기 - 감염위험이 높은 사람은 적기에 예방접종 받기
|
저작권자ⓒ 광주전남닷컴 광주지사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도희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/ news@gjnews.co.kr